체육선수 합숙소(필승료) 신축
선수 합숙소는 야구부가 재창단됨으로써 본격적인 훈련을 하기 위해 1977년 10월 20일에 착공하여 공사비 280여만 원으로 1977년 11월 28일 완공하였다.
합숙소의 명칭은 1977년 12월에 공모한 결과 20편이 응모하여 우수작으로는 1학년 전상대 군의 필승사와 박상진 교사의 전승사가 당첨되었는데, 최종 협의회에서 ‘필승료’로 확정하여 현판식을 가지게 되었다.
************************
그 후; 1999년
야구부합숙소 ‘필승료’ 준공
본교의 야구부 전용합숙소 ‘필승료’를 준공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야구부합숙소 ‘필승료’ 준공
본교가 현대적 시설을 갖춘 야구부 전용 합숙소를 마련했다.
1999년 12월 15일 본교 교정에서 김연철 대구광역시교육감과 안인욱 교장, 야구부를 교기로 육성하고 있는 시내 초․중․고등학교의 교장 및 야구부 감독과 학부모 등 40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야구부 전용 합숙소인 ‘필승료’ 준공식을 가졌다.
단층 슬레이트로 지어져 불편하기 짝이 없던 합숙소를 헐고 지난 10월에 공사를 착공한 지 약 70여 일만에 위용있는 자태를 드러내게 됐다. 연건평 279.51㎡의 2층으로 말끔하게 단장된 합숙소를 살펴보면 웬만한 프로팀 못지않다. 50~60명을 수용하는 식당과 조리실, 휴게실, 감독․코치실, 목욕탕, 웨이트트레이닝 시설까지 갖췄다.
총 2억 5천여 만원이 투입된 공사비 전액은 본교 동창회 야구부 후원회에서 부담했다.

필승료 기탁금(1999. 10. 17)

필승료 건설(1999. 10. 28)

필승료 체력단련실(1999)

필승료 준공 기승제(1999. 12. 15)

김연철 교육감 방문: 필승료 준공식(1999. 12. 15)

김연철 교육감 기념 식수: 필승료 준공식(1999. 12. 15)

김연철 교육감 방문기 작성: 필승료 준공식(1999. 12. 15)

김연철 교육감 축사: 필승료 준공식(1999. 12. 15)

필승료 준공식(1999. 12. 15)



7. 필승료(必勝寮) 현판 제작
1976년 11월 야구부 재창단 후, 1977년 11월 28일 준공하여 야구부합숙소로 사용해 온 숙소에 당시 권오갑 교장이 상록서예원장 효정(曉亭) 권혁택(權赫宅)님께 ‘필승료’ 현판 휘호를 받아 게시해 왔었다.
1999년 9월 29일(음 8월 19일) 야구부합숙소 재건축을 위한 개기제를 올리고 개축공사를 시작하여 동년 12월 15일 합숙소 준공식을 갖게 됨에 따라 합숙소 명칭을 종전 그대로 하기로 하되, 현판 휘호는 문상직 선생과 협의하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야정(野丁) 서근섭(徐根燮) 교수께 받으려고 하였으나 개인 사정 때문에 성사되지 않았다. 1999년 11월 26일 대구교육연수원 이천우(李天雨) 원장과 함께 남석(南石) 이성조(李成祚) 선생을 방문해서 현판 휘호를 부탁드려 동년 11월 30일 휘호를 받고 12월 1일 오석에 양각해서 동년 12월 10일 합숙소에 설치하였다. 12월 15일 준공식에 이어 ‘필승료’ 현판 제막식을 거행하였다.
필승료 휘호 원문은 표구해서 야구감독실 출입문 벽에 게시해 두고 선수들로 하여금 마음에 새기고 정신 수련의 한 매체로 활용하였다.
2000.6. 10. 야구부 웨이트 트레이닝장 설치 준공(필승료 3층)
(면적 128㎡(38.72평), 교육청 지원금 22,860,000원, 동창회 후원금 22,500,000원)
실내야구 연습장 준공(1985년)

실내야구장(1985)

실내야구장 개장(1985)

실내야구장 개장(1985)

실내연습장 준공기념 야구부원(1986)
야구선수들의 전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우천 시나 야간에도 연습할 수 있는 전천후 연습장으로서, 전국규모의 대회를 제패하기 위하여 그 기반을 착실하게 다진 것이다.
◦ 구조 : 철 파이프 아연즙
◦ 규모 : 332m×12m×8m(면적 384㎡)
◦ 공사비 : 1500만원(시비 1,000만원, 체육후원회비 500만원)
◦ 공사시기 : 1981년 12월
2000.9. 3. 실내야구연습장 ‘필승관’ 이전 신축 준공
(건축 면적 396㎡(120평), 소요경비 169,879,000원(신축공사비 118,754,000원, 인조잔디 설치 373㎡[113.03평], 공사비 등 부대경비 51,125,000원)
1976년 11월 야구부 재창단 후 실내연습장이 없어 혹한기나 혹서기, 우천시에는 훈련을 하지 못하는 안타까운 실정이었다. 제12대 교장이신 김종대 교장께서 대구직할시교육감으로 취임하시고, 후임인 제13대 정대화 교장께서 시교육청의 지원을 받아 1985년 12월 31일 384㎡의 실내연습장을 준공하여 줄곧 사용해 왔다. 그러나 20여 년을 사용하자 실내연습장의 지주가 부식하고 천정에서 비가 세는 등 안전사고 우려와 학생들의 건강상의 문제가 많았을 뿐만 아니라, 체육장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없다는 교원들의 의견이 많았다. 2000년 당시 안인욱 교장은 실내연습장을 야구장 가까운 강당 동편 쓰레기소각장에 설치키로 관계 교직원과 협의하여 결정하였다.
이를 학교운영위원회의 협의 후 신축에 따른 예산확보를 시교육청에 요청한 바 당시 김연철 교육감과 관계 부서의 적극적인 협조로 예산을 확보하고, 시교육청 공사 발주로 (주)신성종합건설에서 396㎡의 실내연습장을 시공하였다.
당초 설계에는 실내연습장 바닥이 마사토로 되어 있고, 실내연습장내의 망 설치 계획이 없었는데, 안인욱 교장은 이를 보완하기 위해 바닥에 인조잔디 설치건과 연습하기에 가장 효율적이고 활용도를 최대로 높이기 위한 망 설치건을 시교육청 관계 부서에 요구하여 교육청 주체 시공비 118,754,000원과 교육청 지원금 35,300,000원으로 준공하였다.
특히, 교육청 지원금 중 24,500,000원 들여 2000년 9월 28일 (주)광진산업에서 373㎡ 면적에 인조잔디를 설치하였고, 2000년 10월 5일 제일엔지니어링에서 8,800,000원으로 망을 설치하였으며, 대경창호인테리어에서 2,000,000원으로 스테인리스강 방범창을 설치하였다.
이 야구실내연습장은 고등학교 수준에서는 유일하게 인조잔디로 설치하여 야구계 인사들로부터 찬사를 받을 뿐만 아니라 타학교 학생이나 학부모들의 선망의 대상이기도 하다.
이러한 훌륭한 현대식 야구시설을 확보한 대구고 야구부는 국내외에서 크게 활약할 수 있는 우수한 선수가 될 수 있는 산실을 확보한 긍지와 자부심을 가지고 피와 땀을 아끼지 말아 주었으면 하는 것이 전 교직원과 학생, 동문들의 소망이다.
야구장 공사
2001. 2. 28. 야구장 확장공사 및 외야펜스 설치공사(교육청 주체 시공비 201,457,400원)

야구장 확장준공 기승제(2001. 2. 28)

야구장 확장준공 기승제(2001. 2. 28)

야구장 확장준공(2001. 2. 28)
야구장 조명시설
2001년 2월 28일 야구장 확장공사가 마무리되고 야구장의 미비한 시설로 야구 코칭스텝에서 조명시설을 요구함에 따라 안인욱 교장은 조명시설을 할 수 있는 기반시설로 전기용량과 소요예산 등을 감안한 가설계를 손재호(18회) 동문에게 의뢰하였다.
전기는 대강당 또는 실내연습장에 연결해서 사용할 수 있는 용량이 됨을 통보받고 예산이 문제되어 당시 김연철 교육감께 보고드리고 관계관과 협의한 후 야구장 조명시설건을 요청한 바, 소요예산 1,200만원을 배정받아 2001년 3월 29일부터 중앙전설(박준규 사장)이 착공하여 4월 3일 준공하였는데, 자재비 7,783,935원, 인건비 1,937,942원, 기타경비 388,875원 등 총공사비 1,200만원이 소요되었다.
조명공사 재료는 전선관, 660V 비닐절연전선, 접지용전선, 600V 가교PE케이블, 투광기(56개), 안정기(56개), 램프(56개), 배전용 완금, 배전용 경완금, 완금밴드, 앵글, 보호망, 저압가공용RACK, 피뢰침(9개), 분전반(ALL-SUS), MCCB, ELB, TRAY, TRAYELBOW 등이 사용되었다.
본 조명시설로 혹서기 주간훈련을 피해 야간훈련을 할 수 있게 되어 선수 건강 및 체력 관리와 기량 연마에 보탬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